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네트워크 이론

19. RIP의 개념 및 동작 원리

by zhsus 2023. 1. 27.
반응형

☞ 이 글은 Private 클라우드를 활용한 네트워크 & 서버 보안운영 관리 교육을 받으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1 RIP의 개요

>> RIP 개요

  • 자율 시스템(AS) 내부에서 동작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 경로 결정 방법
    • 홉 카운트를 이용
    • 최대 홉 15개까지 인식
  • 목적지에 도달하는 오직 하나의 경로만 존재하는 단일경로 라우팅 프로토콜
  • 거리벡터(방향과 크기) 라우팅 기반의 알고리즘을 사용
  • 인접 라우터와 매 30초 마다 자신의 모든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전송도 받음
  • 일정시간(180초) 경과 후에도 라우팅 정보를 받지 못하면 해당 경로를 라우팅 테이블에서 삭제
  • 이웃하는 라우터들과 대등관계로 FLAT한 구조
    • RIPv1 : Class full IP만 지원
    • RIPv2 : Classless IP로 VLSM을 지원

#2 RIP의 장점 및 단점

>> RIP 장점

  • 인터넷 표준 라우팅 프로토콜로 모든 벤더가 지원함
  • 구현 및 운영이 간단함

>> RIP 단점

  • 최대 홉 수가 15개로 대규모 네트워크에 어려움
  • 최적의 경로를 하나 밖에 설정을 하지 못하는 단일 경로 지원 프로토콜
  • 거리벡터 알고리즘으로 긴 수렴 시간
  • 라우팅 테이블이 큰 경우, 네트워크 대역폭이 낭비됨
  • 예)  홉 수로는 ① 이 우선이지만, 실제로 대역폭을 고려하면 ② 이 더 빠른 전송 속도를 가진다.

#3 RIP 라우팅 테이블

>> RIP 라우팅 테이블

  • 인접한 라우터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얻음
  • 주기적으로 30초마다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교환하여 업데이트
  • 라우터간 Full-Routing Table을 교환
  • 라우팅 정보는 180초 동안만 유효
  • 현재의 홉 수 보다 낮은 홉 수일 때만 경로 정보를 업데이트

RIP의 라우팅 테이블 갱신 절차

  • 라우팅 테이블에는 목적지, 목적지까지 홉 수, 경유 인터페이스(다음 홉)가 있음

네트워크 구성과 RIP 라우팅 테이블

#4 RIP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 RIP의 문제점

  • 최대 15개의 홉 수로 인해 적용 네트워크 크기가 제한됨
  • 느린 수렴시간으로 인해서 라우터 간에 무한 루프가 발생함
  • 매 30초 마다 경로 정보 전송으로 장애 시에 전체 네트워크 복구 시간이 김

>> RIP의 해결방안

  • 스플릿 호라이즌(Split Horizon) : 라우팅 정보를 보내준 인터페이스로는 해당 라우팅 정보를 보내지 않음
  • 루트 포이즈닝(Route Poisoning) : 회선 고장의 경우, 즉시 홉을 16으로 설정하여 전체 네트워크에 전달
  • 홀드다운 타임(Hold-Down Time) : Down 이후 일정시간 동안 동일 정보에 대한 변경을 받아들이지 않음
  • 트리거 업데이트(Triggered Update) : 네트워크 토폴로지 변화에 대한 즉각적인 전달로 복구시간 줄임

>> RIPv1 와 RIPv2

  • RIPv1 패킷 포맷
    • 명령필드 : 요청 1, 응답 2
    • 버전 : RIP 버전
    • 어드레스 패밀리 식별자 : TCP/IP의 경우 2
    • 네트워크 주소 : 목적지 네트워크 주소

RIPv1 모니터링 화면

  • RIPv1 패킷 종류
    • 요청과 응답의 패킷
요청 패킷(명령 필드 1) 응답 패킷(명령 필드 2)
- 라우터가 최초 부팅 되었을 떄 전송
- 특정 목적지 정보가 시간초과 되었을 때 전송
- 매 30초마다 주기적으로 이웃 라우터에 전송
-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모두 전송
  • RIPv2 패킷 포맷
    • 경로 태크 : AS 번호를 전달하여 내부 경로와 외부 경로로 구분
    • 서브넷 마스크 : CIDR 지원
    • 다음 홉 주소 : 라우팅 경로 상에 있는 다음 라우터 주소

RIPv2 패킷 포맷

  • RIPv1와 RIPv2 비교
지원구분 RIPv1 RIPv2
라우팅
정보 업데이트
IP Class full Routing Classless Routing
(VLSM 지원)
브로드캐스트
255.255.255.255
멀티캐스트
224.0.0.9 사용
서브넷 마스크 불가 가능
인증 불가 가능
Triggered Update
기능
불가 가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