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이 글은 Private 클라우드를 활용한 네트워크 & 서버 보안운영 관리 교육을 받으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1 OSPF의 개요
>> OSPF의 개요
- 1980년대 중반 IETF에서 개발한 국제표준 라우팅 프로토콜
- RIP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대규모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한 라우팅 프로토콜
- 자울 시스템(AS) 내부에서 동작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 OSPF는 목적지까지의 링크상태 알고리즘을 사용
- 링크상태 : 대역폭이 크면 비용이 적음
- 예) 대역폭 100Mbps : 1, 10Mbps : 10
#2 OSPF의 특징
>> OSPF의 특징
- 모든 라우터가 동일한 네트워크 토폴로지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경로를 계산
- 라우팅 루프가 발생하지 않음 - 네트워크를 영역으로 구분하여 계층화 된 라우팅으로 동작
- 네트워크 변화 시에만 라우팅 정보를 전송
- 라우팅 트래픽 양 감소 - 계층 구조 영역 내로 플러딩(Flooding) 범위를 줄여서 데이터베이스 갱신 속도를 높임
※ 플리딩(Flooding) : 갱신 정보를 인접 라우터로 전송 → 다시 자신의 인접 라우터로 즉시 전송하여 갱신 정보가 전역으로 신속히 전달되는 과정
#3 OSPF의 계층 구조
>> OSPF의 계층 구조
- 자율 시스템(AS) 내부에서 동작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 백본 영역(Area 0)과 일반 영역(Area 1, 2, 3)으로 구성
- 백본 영역에서 영역 경계 라우터를 이용하여 영역 간의 라우팅 정보를 전달
- 각 영역은 독립적으로 OSPF를 수행
- 라우터의 브로드캐스트는 영역 내로 제한
- OSPF는 영역 안에서 DR과 BDR을 선출
- 영역에서 DR이 플러딩(Flooding) 경로 정보를 총괄하여 배포
#4 OSPF의 헤더 포맷
>> OSPF의 헤더 포맷
Type Value |
OSPF 메시지 타입 | 기능 |
1 | Hello | - OSPF가 설정된 인접 라우터들과 관계를 맺기 위해 사용(DR, BDR 선출) |
2 | DataBase Description | - 링크 상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 OSPF 라우터들 간의 데이터베이스 동기화 검사 |
3 | Link State Request | - DBD에 없는 링크 상태에 대한 정보 요청 |
4 | Link State Update | - LSR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 |
5 | Link State Acknowledgment | - 1~4와는 다른 패킷 유형에 대한 수신 확인에 사용 |
반응형
'네트워크 > 네트워크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 라우팅 프로토콜의 설정 (0) | 2023.01.28 |
---|---|
21. OSPF의 동작 원리 (0) | 2023.01.27 |
19. RIP의 개념 및 동작 원리 (0) | 2023.01.27 |
18.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 (0) | 2023.01.27 |
17. 라우팅 프로토콜 개념 (0) | 2023.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