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네트워크 이론

17. 라우팅 프로토콜 개념

by zhsus 2023. 1. 18.
반응형

☞ 이 글은 Private 클라우드를 활용한 네트워크 & 서버 보안운영 관리 교육을 받으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1 라우팅 개념

>> 라우팅 개념

  • 네트워크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 설정
  • 경로 설정 요소 : 대역폭, 지연시간, 신뢰성, 거치는 장비수, MTU(최대 데이터 단위)

#2 경로 설정 요소

>> 경로 설정 요소

  • 경로 설정 요소
    • 홉 카운트(Hop Count) : 목적지까지의 경로에서 거치는 홉 수가 적은 것이 좋음
    • 링크 상태(Link State) : 대역폭이 넓을 수록 좋음
    • MTU(최대 전달 용량) : 모든 조건이 동일할 경우, MTU가 큰 것이 좋음
    • IP 라우팅 프로토콜의 경로 결정요소
      1. RIP : Hop Count(홉 카운트)
      2. SPF : Bandwidth(링크 상태)
      3. IGRP : Bandwidth, Delay, Reliability, Load, MTU
      4. ORIP : Hop Count(홉 카운트)
      5. SPF : Bandwidth(링크 상태)
      6. IGRP : Bandwidth, Delay, Reliability, Load, MTU

#3 라우팅 과정

>> 라우팅 과정

  • 라우터에서 IP 패킷이 경로 설정을 하는 과정
    • IP 패킷이 라우터에 도착하면 목적지 주소를 찾기 위해 라우팅 테이블을 검색
    • 도착한 IP 패킷의 목적지
    • 검색해도 라우팅 테이블에 경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 디폴트 라우터로 보냄
동일 네트워크 범위 다른 네트워크로 전달
직접 전송 테이블의 인터페이스에 있는 다음 네트워크로 전달

#4 라우팅 프로토콜

>> 라우팅 프로토콜

  • 라우팅 프로토콜의 기능
    • 네트워크에서 경로 설정 기능을 하는 라우터들이 IP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해서 인접한 라우터들과 경로 정보를 주고 받아 경로를 설정하는 프로토콜
  • 라우팅 프로토콜의 목적
    • 최적 경로 결정
    • 네트워크에서 Loop-free Routing
    • 변화된 네트워크 환경에 빠른 컨버전스(Convergence)
    • 경로 정보 갱신으로 인한 트래픽 발생 최소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