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네트워크 이론

18.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

by zhsus 2023. 1. 27.
반응형

☞ 이 글은 Private 클라우드를 활용한 네트워크 & 서버 보안운영 관리 교육을 받으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정적 라우팅

>> 네트워크 관리자가 라우터에 명령어를 직접 설정하여 경로를 결정

  • 예) 수동설정 라우팅, 디폴트 라우팅

#2 동적 라우팅

>>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라우팅 테이블이 생성되고, 라우팅 테이블로 경로를 결정

  • 예) 목적지까지의 최소 홉 수 경로 또는 목적으로 가는 각 링크가 양호한 상태 등
  • 하나의 관리자에 의해 운영되는 네트워크 단위인 자율 시스템(Autonomous System)의 내부에서 동작하는 IGP와 AS와 AS 간에 동작하는 EGP가 있음

#3 AS와 라우팅

>> IGP와 EGP

IGP EGP
- Interior Gateway Protocol
- AS 내부에서 동작 : RIP, OSPF 등
- Exterior Gateway Protocol
- AS 간에서 동작 : BGP

IGP와 EGP 프로토콜

#4 라우팅 정보처리

>> 정적 라우팅

  • 네트워크 관리자가 라우터에 명령어로 경로를 설정하는 방식
  • 정적 라우팅의 특징
    • 구성이 간단하고 관리자가 원하는 경로로 패킷을 보낼 수 있음
    • 주로 Stub 네트워크나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사용함
    • 네트워크에 갑작스런 장애나 혼잡 발생 시 경로 정보가 고정되어 적절하게 대처할 수 없음
    • 라우터에서는 정적 라우팅이 설정되어 있을 시, 동적 라우팅보다 우선하여 동작
    • 예) CISCO 라우터 디폴트 라우팅 : # ip route 0.0.0.0 0.0.0.0

>> 동적 라우팅

  • 라우터에서 경로정보를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하여 경로를 결정
  • 동적 라우팅의 특징
    • 라우터에서 경로 정보를 일정한 경로 정보의 변경 주기마다 업데이트함
    • 라우팅 테이블에는 목적지 호스트와 목적지로 가는 이웃 라우터(다음 홉)가 있음
    • 현재의 네트워크 상황을 고려하여 최적의 경로 설정을 위해 경로 정보를 수집하는 알고리즘이 필요함
    • RIP와 OSPF가 있음
      1. RIP : 목적지까지 거치는 라우터 수를 고려
      2. OSPF : 목적지까지의 각 링크 상태를 고려

>> 라우팅의 정보처리

  • 소스 라우팅(Source Routing)
    • 송신 호스트가 목적지까지 전달경로를 결정하는 방식
    • 경로 정보를 전송패킷 헤더에 기록 → 중간 라우터가 전달
    • 송신 호스트의 라우팅 테이블에 패킷을 수신 호스트까지 전달하기 위한 경로 정보를 관리
    • 송신 호스트가 모든 라우팅 정보를 관리
    • 중간에 있는 라우터는 라우팅 테이블을 관리할 필요가 없음
    • 가상회선 방식과 데이터그램 방식 모두 사용 가능
    • 소스 라우팅 데이터그램 방식은 일반 데이터그램 방식 보다 패킷 헤더에 경로 정보가 있어서 신뢰성이 높음
  • 분산 라우팅(Distributed Routing)
    • 라우팅 정보가 분산되는 방식
    • 패킷읠 전송경로에 위치한 각 라우터가 효율적인 경로 설정에 참여함
    • 분산 라우팅은 데이터그램 방식에서 많이 사용함
    •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호스트 수가 많아질수록 다른 방식보다 효과적임
  • 중앙 라우팅(Centralized Routing)
    • 라우팅 제어센터(RCC: Routing Control Center)에서 호스트를 사용하여 전송경로에 대한 모든 정보를 관리하는 방식
    • 패킷 전송을 원하는 호스트는 반드시 RCC로부터 경로 정보를 얻어서 소스 라우팅과 동일한 원리로 전송
    • 장점 : 경로 정보를 특정호스트가 관리하기 때문에 일반 호스트의 경로 정보에 대한 부담이 적음
    • 단점 : 네트워크 규모가 커지면 RCC에 과중한 트래픽이 몰려서 전체 효율이 떨어짐
  • 계층 라우팅(Hierarchical Routing)
    • 분산 라우팅과 중앙 라우팅을 적절히 조합하는 방식
    • 전체 네트워크를 계층구조 형태로 관리하는 것
    • 네트워크 규모가 커지는 것에 효과적으로 대처 가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