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이 글은 Private 클라우드를 활용한 네트워크 & 서버 보안운영 관리 교육을 받으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1 TCP/IP 프로토콜 개요
>> TCP/IP 프로토콜 개요
- 1973년 미국에서 개발
-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
- 4개 계층으로 구성
-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전송 계층
- 응용 계층
#2 TCP/IP 프로토콜 구조
- TCP/IP 프로토콜 구조
OSI 7 계층 모델 | TCP/IP 프로토콜 | ||
응용 계층 | Application | FTP, TELNET, SMTP | SNMP, TFTP, DNS |
표현 계층 | |||
세션 계층 | |||
전송 계층 | Transport | TCP | UDP |
네트워크 계층 | Internet | IP, ICMP, ARP, RARP | |
데이터 링크 계층 | Network Access | MAC, Ethernet, Cable | |
물리 계층 |
#3 TCP/IP 프로토콜 계층 기능
>>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 OSI 7 Layer의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능을 의미
- TCP/IP 구조에서는 최하위 계층에 해당
- 통신 단위 : 프레임 (예: MAC 프레임, Ethernet 프레임, IEEE 802.15.4 프레임 등)
- MAC 주소의 지정
-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비(허브, 중계기, 스위치, 브리지)
>> 네트워크 계층
- 목적지 IP 번호를 가지고 경로 설정을 하는 기능
- IP 주소 지정(IPv4, IPv6)
- 네트워크 계층의 데이터 구조는 패킷이고 통신 단위는 데이터그램임
-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IP, ICMP, ARP, RARP, RIP, OSPF, IGMP 등)
- 네트워크 계층의 지원 장비는 라우터
- 경로 설정 기능
>> 전송 계층
- 네트워크에서 End-to-End 간의 전송 제어 방법을 규정
- 송신 단말의 프로세스와 수신 단말의 프로세스 간의 통신방법을 규정
- 전송 계층의 프로토콜 : TCP(연결형), UDP(비 연결형)
- 통신 단위 : TCP 세그먼트 또는 UDP 데이터 그램
- 연결형 및 비연결형에 따른 서비스 포트를 지원
>> 응용 계층
- OSI 모델에서 세션 계층, 표현 계층, 응용 계층의 기능을 규정
- 전송 계층의 지원을 받아 다양한 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제공
- 응용 계층의 통신 단위 : 메시지
- TCP 지원 응용 프로토콜 : HTTP, FTP, TELNET, SMTP 등
- UDP 지원 응용 프로토콜 : DNS, TFTP, SNMP 등
>> 계층별 주소 지정
- 응용 계층 : 특정 응용 서비스 액세스(URL 주소, 메일 주소 등)
- 전송 계층 : 포트 번호(16비트)
- 네트워크 계층 : 논리적 주소(IP 주소 32비트 또는 128비트)
-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 물리적 주소(MAC 주소 48비트)
>> 각 계층별 데이터 형태
- 응용 계층 : 메시지
- 전송 계층 : 세그먼트(TCP), 사용자 데이터그램(UDP)
- 네트워크 계층 : 패킷(IP 패킷)
-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 프레임(MAC 프레임, HDLC 프레임 등)
반응형
'네트워크 > 네트워크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IPv4 주소 체계 (0) | 2023.01.17 |
---|---|
8. 각 계층의 장비 (0) | 2023.01.17 |
6. OSI 7 계층 (0) | 2023.01.17 |
5. 네트워크 프로토콜 개념 (0) | 2023.01.17 |
4. 네트워크 종류 및 구성 (0) | 2023.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