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이 글은 Private 클라우드를 활용한 네트워크 & 서버 보안운영 관리 교육을 받으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1 통신 프로토콜 개념
>> 통신 프로토콜
- 프로토콜의 개념
-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을 위한 통신 규약을 의미
- 동등한(Peer to Peer) 계층 사이의 통신(Communication) 규약
- 송신과 수신 시스템 간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정보의 형식과 절차를 규정
- 무엇을 언제 어떻게 네트워크를 통하여 주고받을 것인지를 규정
#2 통신 프로토콜 주요 요소
>> 통신 프로토콜의 주요 요소
- 구문(Syntax)
- 데이터의 구조 또는 형식
- 데이터가 표현되는 순서
- 의미(Semantics)
- 각 비트의 영역별 의미
- 특정 패턴을 어떻게 해석하고 그를 기반으로 어떤 동작을 할 것인가를 결정
- 시기(Timing)
- 언제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가?
- 얼마의 속도로 전송할 것인가?
#3 통신 프로토콜 계층 구조
>> 통신 프로토콜의 계층 구조
- 프로토콜은 원래 국가 간의 외교를 위한 외교 의정서를 의미
- 프로토콜은 동등 부서(국방, 통상, 교육 등) 간의 약속을 정하는 것
-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프로토콜도 여러 가지 각 기능에 대한 규칙을 요구 => 따라서 프로토콜의 계층 구조가 필요함.
- ISO의 OSI 7 계층 구조
- IETF의 TCP/IP 계층 구조
- ATM 프로토콜 계층 구조
- ISDN 프로토콜 계층 구조
반응형
'네트워크 > 네트워크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TCP/IP 계층 구조 (0) | 2023.01.17 |
---|---|
6. OSI 7 계층 (0) | 2023.01.17 |
4. 네트워크 종류 및 구성 (0) | 2023.01.17 |
3. 유선/무선 네트워크 구조 (1) | 2023.01.17 |
2. 네트워크 구성 (0) | 2023.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