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네트워크 이론

1. 네트워크 용어 정리

by zhsus 2023. 1. 17.
반응형

☞ 이 글은 Private 클라우드를 활용한 네트워크 & 서버 보안운영 관리 교육을 받으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1 네트워크 기본 용어

용어 내용
노드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장비, 단말, 시스템
링크 노드와 노드 간의 논리적인 회선
라우팅 네트워크에서 경로를 설정해 주는 과정
서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클라이언트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스템

 

#2 네트워크 기본 개념

>>  다중화/역다중화

  • 다중화(Multiplexing) : 송신 측에서 하나의 회선을 시간, 주파수, 코드로 나누어 많은 데이터를 싣는 것.
  • 역다중화(De-Multiplexing) : 수신 측에서 하나의 회선에 다중화 되어 온 데이터를 각 채널별로 분리시키는 것.

>>  캡슐화/디캡슐화

  • 캡슐화(Encapsulation) : 송신 측에서 데이터에 제어정보를 부가하는 과정
  • 디캡슐화(De-Encapsulation) : 수신 측에서 데이터에 제어정보를 제거하는 과정

>> 암호화/복호화

  • 암호화 : 암호키를 사용하여 평문을 암호문으로 변경하는 것
  • 복호화 : 복호화키를 사용하여 암호문을 평문으로 복구하는 것

>> 대칭키/비대칭키

  • 대칭키 : 암호화키 = 복호화키
장점 단점
회로가 간단하며, 암호화 및 복호화 속도가 빠름 키의 전달에서의 보안 취약성, 관리 불편
  • 비대칭키 : 암호화키 ≠ 복호화키
장점 단점
키의 전달 및 관리 용이 회로가 복잡하며, 암호화 및 복호화 속도가 늦음

 

>> 데이터 전송 기술

  • 데이터 전달 방식
    1. 유니캐스팅(Unicasting) : 하나의 특정 수신자에게 전송하는 방법 (일대일 통신 방식)
    2. 멀티캐스팅(Multicasting) : 사전에 그룹에 가입된 다수의 수신자에게 전송하는 방법 (일대다 통신 방식)
    3.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 불특정 다수의 수신자에게 전송하는 방법(일대다 통신 방식)
  • 데이터 전송 방식
    1. 동기식 전송(Synchronous) : 송신과 수신 간의 타이밍을 맞추어, 고속 전송하는 것
    2. 비동기식 전송(Asynchronous) : 송신과 수신 간의 타이밍을 맞추지 않고, 저속 전송하는 것

>> 오류 제어 기술

  • 오류 검출 (Parity, CRC)
  • 오류 무시
  • 오류 정정(해밍코드(Hamming code))
  • 재전송

>> 데이터 흐름제어 기술

  • 흐름제어 방법 : 송신 측과 수신 측간에 처리속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X-ON/OFF, 슬라이드 윈도우(Slide Window))

>> 신호전송 기술

  • 베이스밴드(Baseband) 전송 : 신호를 변조하지 않고 직접 전송하는 방식
  • 브로드밴드(Broadband) 전송 : 신호변조기를 사용하여 신호를 변조하여 전송하는 방식

>> 신호전송 방식

방식 특징
단방향 전송 송신 측은 보내기만 하고 수신 측은 수신만 가능 TV, 라디오
반이중 전송 하나의 채널로, 동시에 송수신이 되지 않으며 한쪽에서 송신 시에 상대편은 수신만 가능 경찰 무전기
전이중 전송 채널이 2개라 동시에 송수신이 가능 일반 전화, 휴대폰

 

반응형

'네트워크 > 네트워크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OSI 7 계층  (0) 2023.01.17
5. 네트워크 프로토콜 개념  (0) 2023.01.17
4. 네트워크 종류 및 구성  (0) 2023.01.17
3. 유선/무선 네트워크 구조  (1) 2023.01.17
2. 네트워크 구성  (0) 2023.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