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간 복잡도 개념1 시간 복잡도 & 디버깅 🤔 시간 복잡도란?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산 횟수를 말한다.파이썬의 경우, 2,000만 번~1억 번의 연산을 1초의 수행 시간으로 예측할 수 있다.📌 시간 복잡도 유형빅-오메가(Ω(n)) : 최선의 연산 횟수일 때 나타내는 표기법이다.빅-세타(Θ(n)) : 보통의 연산 횟수일 때 나타내는 표기법이다.빅-오(O(n)) : 최악의 연산 횟수일 때 나타내틑 표기법이다.※ 코딩 테스트에서 모든 테스트 케이스를 통과해야 하므로, 시간 복잡도를 판단할 때, 최악의 연산 횟수를 고려하여 빅-오(O(n))의 시간 복잡도 유형을 사용한다.🤔 디버깅이란?논리 오류를 찾아서 고치는 과정을 디버깅이라고 한다.📌 디버깅 방법코드에서 디버깅을 하고자하는 줄에 중단점을 설정한다. 코드 작성 시, 출력문으로 '변수의.. 2023. 3. 1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