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5. 데이터 모델의 개념
zhsus
2023. 2. 1. 13:15
반응형
☞ 이 글은 Private 클라우드를 활용한 네트워크 & 서버 보안운영 관리 교육을 받으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1 데이터 모델
>> 구조(Structure)
- 데이터의 정적인 성질
- 개체 타입과 이들 간의 관계를 표현
>> 연산(Operation)
- 데이터의 동적인 성질
- 개체를 처리하는 작업에 대한 명세, 데이터 조작 기법
>> 제약 조건(Constraint)
- 데이터의 논리적 제약
- 데이터 조작의 한계를 표현한 규정
#2 데이터베이스의 구성 요소
>> 개념적 구조
- 개체(Entity)
- 표현하고자 하는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유,무형의 객체
- ▶ 반드시 물질적으로 존재할 필요는 없음
- 데이터베이스에서 표현되는 정보의 단위
- 개체는 하나 이상의 속성(Attribute)로 구성
▶ 속성 : 데이터의 가장 작은 논리적인 단위
▶ 물리적인 단위 : Bit - 파일 시스템의 레코드(Record)에 대응되는 개념
개체 집합(Entity Set) ↔ 개체 인스턴스(Entity Instance) - 개체 타입(Entity Type)
▶ 개체 집합에 속한 개체 인스턴스들이 공통으로 가지는 특징(구조)
- 관계(Relationship)
- 개체들 사이에 존재하는 연관성
≫ 예. 교수와 학생 사이에는 지도 관계가 있다.
신랑과 신부 사이에는 결혼 관계가 있다.
- 개체들 사이에 존재하는 연관성
>> 논리적 구조
- 컴퓨터가 인식하고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논리적 구조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과 사용자가 공통으로 인식하는 구조
- 데이터의 논리적 배치와 구성을 나타냄
- 데이터베이스는 주로 관계형 데이터 모델에 기반함
과거 | 현재 |
계층적 모델, 네트워크 모델 등이 있었음 | - 프로그래밍 환경에서는 주로 객체 지향 모델을 사용함 - 실세계를 객체(Object)들과 객체들 간의 의사전달(Message Passing)로 모델링함 |
- 최근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들은 객체 관계형 모델을 사용
관계형 모델 + 객체 지향 모델 = 객체 관계형 모델
>> 물리적 구조
- 하드 디스크, SSD, DVD와 같은 저장 미디어에서 본 데이터의 물리적인 배치 및 구성
- 컴퓨터 위주의 표현 방식으로 저장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의 실제 구조 및 접근 방법
- 일반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래머들은 물리적 구조를 인지하거나 파악하지 못함
>> 데이터베이스 구성 시 유의사항
-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는 사용자가 숙지하고 있어야 함
- 물리적 구조는 일반 사용자가 숙지할 필요는 없음
- 논리적 구조와 물리적 구조 사이의 도표화(Mapping)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 지원함
- 데이터 종속성의 해결 → 데이터 독립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