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기수 정렬
zhsus
2023. 3. 19. 21:05
반응형
🤔 기수 정렬이란?
- 기수 정렬은 값을 놓고 비교할 자릿수를 정한 다음 해당 자릿수만 비교한다.
- 시간 복잡도는 O(kn)으로, k는 데이터의 자릿수를 의미한다.
- 정렬 알고리즘 중에서 시간 복잡도가 가장 빠른 정렬로, 데이터의 개수가 너무 많으면 기수 정렬을 활용하는 게 유리하다.
👉 기수 정렬 수행 방식
✔️ 기수 정렬 과정
- 10개의 큐 리스트를 생성하고, 1의 자릿수 기준으로 큐에 추가한다.
- 그 다음 첫번째 큐부터 마지막 큐까지 데이터를 pop 연산을 수행한다.
- 나온 결과를 다시 10의 자릿수를 기준으로 큐에 추가한다.
- 데이터를 pop 연산하면, 정렬된 데이터로 반환된다.
- 마지막 자릿수를 기준으로 정렬할 때까지 반복시켜주면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