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DHCP 서버 실습 1
🚩 목표 : R1 라우터에 DHCP 서버를 구성하고, 192.168.40.0 대 네트워크 영역 또한 DHCP Relay Agent 로 자동 할당 받을 수 있도록 한다. Windowserver에서는 DNS 서버와 HTTP 서버를 구성하고 다른 PC에서는 ping이 정상적으로 가는지 확인하고, DNS 주소로 정상적인 웹 페이지를 받아오는지 확인해본다.
⌨️ 풀이
- DHCP는 각 pc에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 모든 pc에서 DHCP 서버로 자동으로 IP 주소를 할당받을 것이기 때문에, 초기 IP 주소를 직접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 라우터의 인터페이스에만 먼저 주소를 기입해준다.
- 그 다음 Windowserver pc에서 DNS 서버와 HTTP 서버를 구성해준다.
- DNS 서버와 HTTP 서버를 구성하는 방법은 아래 글을 참고하면 된다.
- 2023.02.19 - [네트워크/eve 실습] - STEP5-1. DHCP Server
STEP5-1. DHCP Server
💡 DNS 서버와 HTTP 서버 환경 구축 DHCP 서버를 구성하기 전에 윈도우에서 DNS와 HTTP 서버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Window 2003 PC를 생성해서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DNS 설정은 다음과
zhsusegg.tistory.com
- 이때 Windowserver PC는 정적으로 IP 주소를 기입해주어야 한다.
- Windowserver PC 구성이 끝났다면, 다른 PC의 IP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해줘야한다.
- DHCP 서버는 R1으로 구성하고, R4에서는 다른 네트워크 주소를 DHCP Relay Agent 방식으로 주소를 할당받는다.
- R1에서 DHCP 서버를 구성하는 방법은 먼저 dhcp를 할당할 주소 선언을 해주어야한다.
- 'ip dhcp pool (짓고 싶은 DHCP 서버이름)' 을 통해 dhcp 서버를 구성하고, IP 주소를 자동 할당해줄 'network (네트워크 주소) (서브넷 마스크)' 영역과 'default-gateway (게이트웨이 주소=인터페이스에 할당한 주소)', 'dns-server (DNS 서버 주소)'를 기입해준다.
- 이해하기 쉽게 생각하면 리눅스 PC 에서 정적으로 IP 주소 정보를 기입할 때, IP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그리고 게이트웨이 주소 등을 기입해주는 방식이랑 비슷하게 이해하면 된다.
- DHCP 서버에서 자동으로 할당해줘야 할 네트워크 주소는 [192.168.10.0, 192.168.40.0] 2개이므로 dhcp 서버를 위와 같은 방식으로 두 개 구성해주면 된다.
- 또한, DHCP 서버에서 자동으로 주소를 할당해주지만, 특정 주소는 제외시킬 수 있는 방법이 있다.
- 만약, 호스트 주소 192.168.10.1부터 192.168.10.99까지 주소를 제외시키고 싶다면, 'ip dhcp excluded-address 192.168.10.1 192.168.10.99' 와 같이 지정해줄 수 있다.
- 라우터 인터페이스에 주어진 게이트웨이 주소는 자동으로 할당되면 안되기 때문에, 제외시켜주었다. (사실 안해도 동일한 주소는 할당되지 않는다..ㅎ),
- R1에서 DHCP 서버 구성이 끝났다면, R4에서 DHCP 서버에서 IP 주소를 받아올 수 있어야한다.
- 이때, R4와 R1이 떨어져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R4에서 아무리 DHCP 서버로 IP 주소를 달라고 외쳐도 이웃된 라우터를 넘어가지 못한다.
- 그래서 DHCP Relay Agent 구성이 필요하다. 구성 방식은 간단하다.
- 할당받을 라우터 인터페이스 주소로 들어가서 'ip helper-address (DHCP IP 주소)' 를 입력하면 끝이다.
- 마지막으로 떨어져 있는 라우터들 간의 라우팅 테이블 정보 교환을 위해 정적 라우팅으로 구성해준다.
- 이제 모든 라우터의 구성이 끝났으면, 각 PC에서 주소를 할당 받아야한다.
- 윈도우의 경우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받기 위해 실행창을 열고 'ipconfig /release' 명령어로 주소를 반납하고 'ip /renew'로 다시 주소를 자동을 할당 받을 수 있다. 그리고 'ipconfig /all' 명령어를 통해 할당받은 주소를 확인해보자.
- 리눅스의 경우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받기 위해 커맨드 창에서 'dhclient -r' 명령어를 통해 주소를 반납하고, 'dhclient' 명령어를 통해 자동으로 주소를 받아올 수 있다. 마찬가지로 'ifconfig' 와 'netstat -rn' 명령어로 할당받은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 모든 pc에서 자동으로 주소를 할당받았고, 라우터 구성이 문제없이 이루어졌다면, DHCP 클라이언트 pc에서 DNS 서버 및 HTTP 서버 주소로 ping을 전송해본다. ping이 정상적으로 간다면, 다음 DNS 이름으로 ping을 날려보고, 모든게 다 정상적이라면 DNS 주소를 입력했을 때 웹 페이지를 정상적으로 받아오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 DHCP 서버 실습 2
🚩 목표 : R1 라우터에 DHCP 서버를 구성하고, 223.255.255.0 대 네트워크 영역 또한 DHCP Relay Agent 로 자동 할당 받을 수 있도록 한다. Windowserver15에서는 DNS 서버를 구성하고, Winserver17에서는 HTTP 서버를 구성한다. 또한, 예약된 DHCP 클라이언트 PC에서는 예약한 주소로만 자동 주소를 할당받을 수 있어야하며, 다른 DHCP 클라이언트 PC에서는 자동으로 주소를 받아와 ping이 정상적으로 가는지 확인하고, DNS 주소로 정상적인 웹 페이지를 받아오는지 확인해본다.
⌨️ 풀이
- 문제 이해를 먼저 해보자면, R1에서 DHCP 서버를 구성하고, R3에서 DHCP Relay Agent 를 구성한다. 모든 라우터는 정적 라우팅으로 설정 해서 통신이 가능하게 하고, DHCP 클라이언트 PC에서 DNS 주소 이름으로 DNS 서버에 웹 페이지를 요청하면 DNS 서버에서는 HTTP 서버로 가서 웹 페이지 정보를 받아서 다시 DHCP 클라이언트 PC에게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게 해야한다. (순서 : DHCP 클라이언트 PC → DNS 서버 PC → HTTP 서버 PC → DHCP 클라언트 PC) 또한, 예약된 DHCP 클라이언트 PC가 있기 때문에, 해당 라우터에서는 DHCP 서버에서는 세 개의 DHCP 서버 정보와 두 개의 예약된 DHCP 클라이언트 PC의 주소 정보를 지정해주어야한다.
- 먼저 라우터 인터페이스에 주소를 기입하고, 떨어져 있는 라우터 간의 라우팅 테이블을 정적 라우팅으로 구성해준다.
- 다음 R1에서는 DHCP 서버를 세 개 만들어주고, R3에서는 DHCP 서버에게 IP 주소를 받아올 수 있게 DHCP Relay Agent 로 구성해준다.
- 다음 DNS 서버 PC 에서 IP 주소를 할당하고 DNS 서버를 구축해준다.
- DNS 서버에서 www 도메인 이름과 연결할 때에는 HTTP 서버 주소를 입력해주어야한다.
- 마찬가지로 HTTP 서버 PC 에서도 IP 주소를 할당하고 HTTP 서버를 구축해준다.
- 예약된 DHCP 클라이언트 PC를 제외하고 나머지 PC에서는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 받아준다.
- 예약된 DHCP 클라이언트 PC에 예약된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해주기 위해서는 DHCP 서버 라우터에 'ip dhcp pool (호스트 아무 이름)' 명령어로 예약할 정보 주머니를 만들어주고, 'host (예약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를 입력하고, 예약된 DHCP 클라이언트 PC의 MAC 주소를 넣어주어야한다.
- 윈도우의 경우 예약된 주소를 받기 위해 라우터에 MAC 주소를 기입할 때에는 'client-identifier (MAC 주소)' 를 기입해준다.
- 리눅스의 경우 예약된 주소를 받기 위해 라우터에 MAC 주소를 기입할 때는 'hardware-address (MAC 주소)'를 기입해준다.
- MAC 주소의 경우 각 PC마다 고유의 값을 가지기 때문에, 특정 기기에 원하는 IP 주소를 넣어주고 싶을 때, 특정 기기를 MAC 주소로 식별할 수 있다.
- 모든 설정을 마쳤다면, 예약된 DHCP 클라이언트 PC에서도 자동 예약 주소를 할당 받아준다.
- 이제 DHCP 클라이언트 PC에서 DNS 서버 PC로 ping을 날려보고, 이상 없다면 DNS 주소 이름으로 정상적인 웹 페이지를 받아올 수 있는 것을 확인해볼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