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네트워크 이론

13. IPv6 패킷 구조

by zhsus 2023. 1. 18.
반응형

☞ 이 글은 Private 클라우드를 활용한 네트워크 & 서버 보안운영 관리 교육을 받으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1 IPv6 패킷 구성

>> 기본 헤더

  • 40바이트로 패킷의 기본적인 정보와 송/수신 주소 등 전송에 필수적인 정보로 구성

>> 확장 헤더

  • 추가적인 전송 기능이 필요할 때 사용되며 기본 헤더 뒤에 선택적으로 추가

>> 데이터 필드

  • IP 상위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부분으로 TCP 세그먼트나 UDP 데이터그램

IPv6 패킷 헤더 구조

#2 IPv6 기본 헤더

>> IPv6 기본 헤더

구분 주소 길이 특징
트래픽 클래스 Traffic Class : 8 비트 트래픽 특성에 따른 차별화 서비스 제공
플로우 레이블 Flow Label : 20비트 동일한 서비스클래스를 필요로 하는 패킷을 표현
페이로드 길이 Payload Length : 16 비트 16비트로 65,536까지 가능
다음 헤더 - 상위계층 TCP, UDP, ICMP 프로토콜 표시
홉 제한 Hop Limit : 8비트 패킷이 경유할 수 있는 최대 라우터 수 라우터를 1 지날 때마다 1씩 감소되고, 0이면 폐기

>> IPv4와 IPv6 기본 헤더의 차이점

  • 크기 : 40바이트
  • IPv4의 헤더 길이, 식별자 플래그, 분할 옵셋, 헤더 체크섬과 같은 다섯 필드가 제거됨
  • 서비스타입 필드 → 트래픽 클래스, 플로우 레이블
  • 프로토콜 필드 → 다음 헤더
  • TTL(Time To Live) → 홉 제한

#3 IPv6 확장 헤더

>> 확장 헤더

  • IPv6 패킷에 부가적인 기능이 필요할 때 기본 헤더 뒤에 확장 헤더를 추가
  • 각 확장 헤더는 다음 헤더 값을 통해 식별

확장 헤더의 순서

 

반응형

'네트워크 > 네트워크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 인터넷 그룹관리 프로토콜(IGMP)  (0) 2023.01.18
14.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ICMP)  (0) 2023.01.18
12. IPv6 주소 특징  (0) 2023.01.18
11. IPv6 주소 체계  (0) 2023.01.18
10. IPv4 패킷 구성  (2) 2023.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