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이 글은 Private 클라우드를 활용한 네트워크 & 서버 보안운영 관리 교육을 받으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정의
>>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 관련 있는 데이터들의 집합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
-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및 관리해 주는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패키지/시스템
- 데이터베이스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의 중계자로써 모든 사용자와 응용 프로그램들의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범용 목적의 소프트웨어 시스템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 응용 프로그램
→ 데이터베이스, DBMS,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혼용해서 사용
#2 기능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기능
- 데이터 정의 기능
- 여러 사용자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데이터 모델에 따라 정의하는 기능
-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가 서로 인터페이스 할 수 있는 방법 제공
- 데이터 조작기능
-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간의 의사소통의 수단
- 데이터베이스의 접근 및 조작(삽입, 삭제, 변경 및 검색)
- 사용자가 사용하기 쉽고, 원하는 처리를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함.
- 데이터 제어 기능
-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일관되고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기능
- 데이터 일관성(Consistency)과 무결성(Integrity), 보안(Security)을 유지하는 기능
- 백업과 파손 회복(Recovery)
- 인증(Authorization)과 보안(Security)
- 병행 제어(Concurrency Control)
#3 발전
>> IDS (Integrated Data Store)
- 최초의 범용 목적의 DBMS
- 1960년대 초 GE의 Charles Bachman에 의하여 제시
- 논리적 데이터 모델로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Network Data Model) 기반
- 데이터 모델을 명시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도를 제안
>> IM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DBMS
- 1960년 후반 IBM에서 제시
- 계층 데이터 모델이라는 또 다른 데이터 표현의 기반이 됨
>> 제 1세대 DBMS
- 1970년대 대형 컴퓨터 제조사들이 모두 자사의 DBMS를 제작, 판매하기 시작함
- 네트워크 모델, 계층 모델에 기초를 둠
>> 제 2세대 DBMS
- 1980년대 관계형 모델(Relational Data Model)에 기반한 DBMS들이 개발됨
- 대부분 DBMS는 하드웨어에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게됨.
>> 제 3세대 DBMS
- 데이터 구조의 복잡성 증가 : Image, Video. 시공간 데이터 등
- 새로운 데이터 모델의 대두
- 객체지향 데이터 모델 ☞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
→ 이미지, 텍스트, 그래픽 같은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타입을 저장,관리하고 복잡한 질의를 처리할 수 있도록 DBMS의 기능이 확장됨. - 현재 :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2세대 DBMS + 3세대 DBMS =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ORDBMS)
반응형